Last Updated: 2023-12-19

cover

지금까지의 Tutorial을 통해 Mocha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인지하고 습득하였다. 아직도 Mocha에 대해 애매모호한 기분이 들거나 뭔가 아쉬움이 남는다면 다시 돌아가 JavaScript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 Mocha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이제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토대로 실제로 Mocha를 가지고 TDD를 진행해 보자. 이 Tutorial을 추가한 이유는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1. TDD를 이해하기 위함이며,
  2. Mocha를 실전에 사용해 보기 위함이다.

이 두 가지를 생각하며 Tutorial을 시작해보자.


TDD(Test-Driven-Development) Cycle

TDD는 Step 03: Hooks에서 살짝 설명한 바가 있다. TDD는 짧은 Cycle을 반복적으로 테스트하는 개발 프로세스로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작성된 테스트 코드를 패스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자세한 TDD가 무엇인지는 구글링을 통해 알아보자.

시작하기에 앞서 TDD의 프로세스를 생각해두자. 위에서 말했듯이 하나의 짧은 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 Cycle의 대략적인 순서는 이렇다.

  1. 개발 명세 작성
  2. 개발 명세에 따른 테스트 코드 작성
  3. 테스트 실행
  4. 테스트가 성공하도록 최소한의 비스니스 로직 작성
  5. 테스트 실행
  6. 테스트 케이스 추가
  7. 테스트 실행
  8. 테스트 코드 및 테스트 케이스 Refactoring
  9. 테스트 실행

위의 순서대로 우리는 간략하게 Validation Check Plug-in을 만들어 보면서 TDD와 Mocha를 동시에 파악할 것이다.

1. 명세 작성

프로세스 순서에 따라 명세를 작성한다. 명세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 목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좋다. 우리는 Validation Check Plug-in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필요한 사항을 명세에 적어볼 수 있겠다.

  • 이메일의 형식을 검증한다.
  • 전화번호의 형식을 검증한다.
  • 이름의 형식을 검증한다.

간략하게 3가지의 명세를 적어보았다. Validation Check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의 기능을 나열한 것이다.

2. 개발 명세에 따른 테스트 코드 작성

개발 명세를 작성하였으니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보자. 첫 번째로 이메일의 형식을 검증한다.는 것에 대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볼 것이다. AssertionsChai를 사용할 것이다. Chai에 대해서는 Step 02: Assertion-chai를 참고하자.

해당 파일은 test.js와 같은 테스트 파일이 될 것이다.

var chai = require('chai');
var expect = chai.expect;

suite('#Validation Check', function () {
test('이메일의 형식을 검증한다.', function () {
var validate = new Validate();
var result = validate.email('test@naver.com');

expect(result).to.be.true;
});
});

우리는 TDD를 진행할 것이니 테스트 스위트의 스타일을 describe, it이 아닌 suite, test를 사용했다. 물론 Mocha의 옵션 역시 --ui tdd로 주어야 한다. Step 03: Hooks을 참고하자.

3. 테스트 실행

위에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자. 당연히 비즈니스 코드가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 될 것이다. 여기까지만 보아도 왜 TDD가 테스트 주도 개발인지 알 수 있다.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 후 이후에 비즈니스 코드를 작성한다.

4. 테스트가 성공하도록 최소한의 비즈니스 로직 작성

이제 작성한 테스트 코드가 통과될 수 있도록 최소한으로써 비즈니스 코드를 작성해보자. 해당 파일은 validate.js와 같은 적당한 파일이 될 것이다.

function Validate() {

}

Validate.prototype = {
email: function (email) {
var regex = /^[0-9a-zA-Z]([-_\.]?[0-9a-zA-Z])*@[0-9a-zA-Z]([-_\.]?[0-9a-zA-Z])*\.[a-zA-Z]{2,3}$/i;

return regex.test(email);
}
};

module.exports = Validate;

validate.js를 만들었으니 이미 만든 테스트 코드가 있는 test.js에 해당 모듈을 불러오자.

//...
var Validate = require('./validate');
//...

여기서 언급할 내용은 코드의 설명이 아닌 TDD에 대한 내용이다. 처음 TDD를 접하게 되면 다소 난감한 상황에 부딪힌다. 그 부분은 첫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이다. 막막하기 그지없다. 무엇을 시작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때 기억해야 할 것은 이것이다.

  • given -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
  • when - 어떻게 동작이 진행되는가.
  • then - 동작에 대한 결과가 어떠한가.

?????… 무슨 말이지..
이 내용을 위에 작성한 코드에 대입해보자.

var chai = require('chai');
var expect = chai.expect;

suite('#Validation Check', function () {
test('이메일의 형식을 검증한다.', function () {
//given
var validate = new Validate();

//when
var result = validate.email('test@naver.com');

//then
expect(result).to.be.true;
});
});

주석을 적어놓으니 이해가 되는 듯하다. TDD에 익숙하지 않다면 given, when, then 패턴을 기억하고 주석을 먼저 적고 시작하자.

5. 테스트 실행

이제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자. 적당하게 비즈니스 코드를 작성하였다. 테스트 코드가 실패한다면 비즈니스 코드를 수정하자.

6. 테스트 케이스 추가

5번에서 테스트가 성공하였다면 바로 변칙적인 다른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하자.

var chai = require('chai');
var Validate = require('./validate');
var expect = chai.expect;

suite('#Validation Check', function () {
test('이메일의 형식을 검증한다.', function () {
//given
var validate = new Validate();

//when
var result1 = validate.email('test@naver.com');
var result2 = validate.email('test_1234@naver.com');
var result3 = validate.email('!@test@naver.com');
var result4 = validate.email('test#naver.com');
var result5 = validate.email('test');
var result6 = validate.email('naver.com');

//then
expect(result1).to.be.true;
expect(result2).to.be.true;
expect(result3).to.be.false;
expect(result4).to.be.false;
expect(result5).to.be.false;
expect(result6).to.be.false;
});
});

7. 테스트 실행

테스트를 실행해보자. 여기서 테스트 실패가 나온다면 비즈니스코드가 잘못된 것이니 테스트가 성공하도록 비즈니스 코드를 수정하면 된다.

8. 테스트 코드 및 테스트 케이스 Refactoring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하고도 완료되었다면 테스트 코드 및 비즈니스 코드를 Refactoring을 진행하면 된다. 테스트 코드를 Refactoring하는 이유는 당연히 유지관리를 위해서이다. 테스트 코드는 일회성이 아닌 유지관리 포인트에 포함되는 사항이기 때문이다.
6번에서 작성한 코드가 반복적인 부분이 많다. result1, 2, 3, 4….라니… 수정하도록 하자.

var chai = require('chai');
var Validate = require('./validate');
var expect = chai.expect;

suite('#Validation Check', function () {
test('이메일의 형식을 검증한다.', function () {
//given
var successTestCase = [
'test@naver.com', 'test_1234@naver.com'
];

var failTestCase = [
'!@test@naver.com', 'test#naver.com', 'test', 'naver.com'
];

var validate = new Validate();

successTestCase.forEach(function (testCase) {
//when
var result = validate.email(testCase);

//then
expect(result).to.be.true;
});

failTestCase.forEach(function (testCase) {
//when
var result = validate.email(testCase);

//then
expect(result).to.be.false;
});
});
});

가독성을 위해 successfail로 나눠 보았다. 자세히 보니 명세에 적힌 기능을 구현해본다면 Validate 객체를 테스트 케스트마다 생성할 테니 미리 Refactoring을 하자.

var chai = require('chai');
var Validate = require('./validate');
var expect = chai.expect;

suite('#Validation Check', function () {
var validate = null;
var successTestCase = [];
var failTestCase = [];

suiteSetup(function () {
validate = new Validate();
});

suiteTeardown(function () {
validate = null;
successTestCase = [];
failTestCase = [];
});

test('이메일의 형식을 검증한다.', function () {
//given
successTestCase = [
'test@naver.com', 'test_1234@naver.com'
];

failTestCase = [
'!@test@naver.com', 'test#naver.com', 'test', 'naver.com'
];

successTestCase.forEach(function (testCase) {
//when
var result = validate.email(testCase);

//then
expect(result).to.be.true;
});

failTestCase.forEach(function (testCase) {
//when
var result = validate.email(testCase);

//then
expect(result).to.be.false;
});
});
});

9. 테스트 실행

실행해보자. 테스트가 실패한다면 비즈니스 코드 수정 후 7번으로 돌아가 반복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면 된다.


여기까지가 Mocha의 마지막 지점이다. 물론 명세에 있는 내용을 다 포스팅하진 않았지만, 처음에 말했듯이 하나의 짧은 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테스트함에 있어서 특수한 케이스가 나올 수 있지만, TDD를 사용하는 목적을 다시 생각해 보면 어느 부분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